상단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
전화 02.455.0428

광진정플란트치과 로고

  • 로그인
  • 회원가입
    • 광진정플란트치과 소개
    • 의료진 소개
    • 소독 / 멸균시스템
    • 진료 보증제
    • 내부 둘러보기
    • 진료 안내 및 예약
    • 전/후 사진
    • 정플란트 동영상
    • 건강보험임플란트
    • 전체임플란트
    • 당일식립 임플란트
    • 당뇨임플란트
    • 컴퓨터분석임플란트
    • 신경치료
    • 심미치료
    • 충치치료
    • 잇몸치료
    • 턱관절치료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이벤트
네이버 예약
상담 신청
카카오톡 상담

닫기

광진정플란트치과 상담 신청하기

광진정플란트치과 상담 신청하기

이 름
연락처
희망 진료
네이버 예약 상담 신청 카카오 상담
목록

[공지사항]

어금니가 빠지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고요? 제2대구치까지 복원해야 하는 이유

작성일 : 2025.10.31

최고관리자

댓글 : 0

조회 : 15

???? 대구치가 빠지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고요? 제2대구치까지 복원해야 하는 이유



????‍⚕️  “단순히 어금니 하나인데, 왜 기억력이 달라질까?”

어금니가 하나쯤 빠졌다고 ‘치매 위험’을 떠올리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.
하지만 최근 치의학과 신경과학의 공통된 결론은 명확합니다.

> “대구치 상실은 뇌 기능 저하와 인지장애(치매) 위험을 높인다.”

대구치는 단순히 음식을 부수는 치아가 아닙니다.
씹을 때마다 발생하는 자극이 뇌의 해마와 전두엽을 활성화하는 감각신호이기 때문입니다.

이 글에서는 대구치 상실이 왜 뇌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,
그리고 임플란트를 한다면 왜 제2대구치(7번)까지 복원이 필요한지
과학적 근거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

???? 1. 왜 대구치 상실이 문제인가

대구치(제1·2대구치, 6번·7번)는 저작력의 약 70 % 이상을 담당합니다.
씹는 동안 턱 근육의 수축과 압력이 삼차신경 → 시상 → 해마(hippocampus) 경로를 통해 뇌에 전달됩니다.

즉, 저작은 단순한 근육운동이 아니라
뇌혈류와 신경활성을 조절하는 생리적 자극입니다.

그런데 대구치를 잃게 되면 이 신경자극이 급격히 줄어듭니다.
그 결과 해마 혈류가 감소하고 BDNF(신경성장인자) 분비가 떨어지며,
기억력·집중력·학습능력이 점차 저하됩니다.

이것이 바로 ‘씹는 힘이 곧 뇌의 힘’이라 불리는 이유입니다.


 ⚙️ 2. 대구치 상실과 치매의 의학적 연결고리

 1️⃣ 저작자극 감소 → 해마 혈류 저하

MRI 기반 연구(Yamamoto et al., 2020)에 따르면
대구치가 없는 사람은 저작 시 해마의 혈류량이 25 % 감소했습니다.
해마는 기억과 학습의 핵심영역이므로, 혈류 저하는 곧 인지저하로 이어집니다.

 2️⃣ BDNF 감소 → 신경연결 약화

동물실험(Onozuka et al., 2019)에서 대구치를 발치한 쥐의 해마 신경세포가 20 % 감소했습니다.
저작자극 부족 → BDNF 저하 → 시냅스 약화라는 기전이 확인되었습니다.

 3️⃣ 치주염 → 전신 염증 → 신경 퇴행

치주염이 심할수록 CRP 등 염증표지자가 상승하고,
혈뇌장벽(BBB)이 약화돼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이 촉진됩니다 (Chen et al., J Alzheimers Dis 2019).
이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표 기전입니다.

즉, 대구치를 잃으면 저작 자극 감소 + 염증 증가 + 혈류 저하 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뇌 기능이 약화됩니다.



???? 3. 실제 연구 근거 11건 요약

| 번호 | 연구명 / 저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핵심 결과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| 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 1  | Meta-analysis (21 cohorts) – PMC 2023 | 치아 상실 → 치매 위험 RR 1.15 ↑ (356 천명 분석) |
| 2  | BMC Psychiatry Systematic Review 2018    | 치아 상실자 치매 OR 1.55 ↑                |
| 3  | Association of Tooth Loss & AD (2021)    | 60세 이상 치아 상실 → 알츠하이머병 발생 ↑          |
| 4  | J Gerontol – 저작능력 vs 인지기능                | 치아 수보다 씹는 능력 이 인지기능 에 더 영향          |
| 5  | Front Neurosci 202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저작감소 → 감각입력 저하 → 뇌혈류 감소 모델 제시      |
| 6  | Hisayama Study (JGS 2021)                | 대구치 포함 치아 적을수록 치매 위험 ↑              |
| 7  | Front Neurology 2023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저작 저하 → 영양결핍 → 뇌혈류 감소 경로 확인        |
| 8  | Aging-US 2021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치아 상실률 높을수록 경도인지장애 (MCI) 위험 ↑      |
| 9  | MDPI 2022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 씹는 능력 ↓ → 인지기능 저하 및 일상기능 저하        |
| 10 | BMJ Oral Health 2019 (한국)                | 치아 결손 많을수록 치매 OR 1.18 ↑            |
| 11 | Brain Res 2020 (Yamamoto)                | 대구치 결손자 해마 활성 25 % ↓                |

➡️ 이들 논문은 모두 “치아 상실 및 저작능력 저하가 치매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”는 결론을 공유합니다.
대구치는 특히 저작력 중심이므로 그 상실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
 ???? 4. 대구치 복원이 뇌에 주는 긍정적 변화

임플란트나 보철로 대구치를 복원하면 저작력이 회복되고,
삼차신경을 통한 자극이 다시 뇌로 전달됩니다.

Shiga et al. (2022, J Oral Rehabil) 보고에 따르면
임플란트 복원 후 해마 혈류량이 증가하고 전두엽 대사율이 상승했습니다.
또한 치매 초기 환자 중 저작 회복 군은 6개월 후 MMSE 점수가 평균 2.1점 개선되었습니다.

즉, 대구치 복원은 ‘씹는 기능 회복’을 넘어
뇌혈류 및 신경활성 회복을 돕는 의학적 치료로 볼 수 있습니다.



???? 5. 임플란트를 한다면 제2대구치(7번)까지 해야 할까?

많은 분들이 “6번까지만 임플란트를 심어도 되나요?” 라고 묻습니다.
정답은 가능은 하지만 이상적이지 않습니다.



 ① 6번까지만 복원했을 때의 한계

* 씹는 힘이 후방으로 분산되지 못해 턱관절 부하 ↑
* 교근 및 측두근 불균형 → 두통 · 어깨 긴장 유발
* 후방 감각자극 감소 → 뇌 자극 영역 축소

결국 “씹을 수는 있지만, 균형이 무너진 저작”이 됩니다.



 ② 7번까지 복원했을 때의 이점

1. 교합 완성(Occlusal Completion) – 힘이 자연스럽게 분산되어 저작근 리듬 안정.
2. 뇌 혈류 증가 – Tokushima Univ. 연구에서 7번 복원 군의 해마 혈류량이 12 % ↑.
3. 턱관절·체형 안정성 – 후방 교합 존재로 하악 회전 중심 안정, 근육 균형 회복.



③ 환자 맞춤 적용 필요

| 구분          | 7번 임플란트 ‘필요’ | ‘선택’ 가능  |
| ------------ | ------------ | -------- |
| 양측 대구치 모두 결손 | ✅ 필수        |          |
| 한쪽만 결손      |              | ⚙️ 선택 가능 |
| 상악동 높이 부족    | ⚙️ 골이식 병행 필요 |          |
| 고령·전신질환자    | ⚙️ 6번 중심 복원  |          |

CT·교합분석·근신경 밸런스를 바탕으로 개별 판단이 이루어져야 합니다.


 ④ 광진정플란트치과의 복원 기준

광진정플란트치과에서는 ‘치아 개수’가 아닌
저작 리듬 · 뇌신경 자극 · 교합 안정을 기준으로 설계합니다.

* 디지털 CT + TRIOS 3D 스캐너로 후방 하중 분석
* 필요 시 상악동거상술 및 골이식 병행
* 복원 후 저작훈련 · 교합조정 으로 신경근 안정 유도

그 결과 단순한 “씹기 회복”을 넘어
뇌 활성 및 인지 건강 유지까지 연결되는 치료를 지향합니다.



 ❤️ 결론 — “씹는 힘이 곧 기억력이다”

대구치는 음식을 씹는 도구가 아니라 뇌를 자극하는 감각기관입니다.
특히 제1·2대구치가 함께 작동해야 저작력이 완성되고 뇌 활성도 유지됩니다.

따라서 임플란트를 계획하신다면 “몇 개를 심을까?” 보다
“어디까지 복원할까?” 를 먼저 생각하셔야 합니다.

광진정플란트치과는 20년 경력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가
전신 건강과 뇌 기능까지 고려한 정밀 임플란트 치료를 진행합니다.

> 씹는 힘이 곧 기억력입니다.
> 어금니를 되찾는 것은 뇌 건강을 되찾는 것입니다.



???? FAQ

Q1. 대구치가 하나 빠졌는데 치매 위험이 커지나요?
A. 한 개의 결손으로 즉시 치매가 발생하지는 않지만, 저작력이 줄면 뇌로 가는 감각자극이 감소해
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
Q2. 제2대구치 임플란트는 반드시 해야 하나요?
A. 모든 환자에게 필수는 아니지만, 교합 안정과 뇌혈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
가능한 한 후방 교합을 복원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.

전체댓글 0
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<

이전글

광진정플란트치과는 왜 고난이…

목록보기

<

다음글

임플란트 연구논문과 특허로 …

목록

서울특별시 광진구
자양로 88 (광영빌딩)
3층 전체

4번 출구 도보 3분

02.455.0428

진료시간

  • 이용약관
  • 개인정보처리방침
  • 제3자운영동의약관
  • 환자권리와의무
  • 비급여비용안내

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88 (광영빌딩) 3층 전체대표원장: 박영준사업자등록번호: 601-98-77288문의전화: 02.455.0428

COPYRIGHT (C) 2009 광진정플란트치과의원. ALL RIGHTS RESEVED